주식시장에는 갑작스러운 가격 급락을 막기 위해 다양한 안전장치(시장 안정 장치)가 마련되어 있습니다. 그 중 하나가 바로 ‘사이드카’입니다. 오늘 미국 트럼프발 관세전쟁의 공포감으로 증시가 폭락하면서 매도사이드카가 발동됐다고 합니다. 이 매도 사이드카가 무엇인지 코스피와 코스닥 매도사이드카에 대해서도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 사이드카란
- 매도사이드카란
- 필요한 이유
- 사례
- 매도 사이드카와 서킷브레이커의 차이점
- 코스피vs코스닥 매도사이드카
사이드카란
사이드카(Sidecar)란, 주식시장에서 선물 가격이 급변할 때 현물 시장의 혼란을 막기 위해 일시적으로 매매를 제한하는 제도입니다.
이 제도는 선물 시장의 급격한 변동이 주식시장(현물시장)에 큰 충격을 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입되었습니다.
말 그대로 선물 시장에 ‘브레이크’를 걸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매도 사이드카란
매도 사이드카는 사이드카 제도 중에서도 가격이 급락할 때 작동하는 제도입니다.구체적으로는, 주가지수 선물 가격이 전일 종가 대비 5% 이상 하락한 상태가 1분 이상 지속될 경우,한국거래소는 프로그램 매도 호가의 효력을 5분간 정지시킵니다.
이 말은,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으로 대량 매도가 일어나려는 상황을 일시 정지시키는 것입니다. 이렇게 하면 시장이 과도하게 패닉에 빠지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필요한 이유
현대 주식시장은 대부분 프로그램 매매로 돌아가고 있기 때문에 가격이 조금만 움직여도 프로그램들이 자동으로 매도 주문을 쏟아낼 수 있습니다.그 결과, 주식 가격이 비이성적으로 빠르게 하락할 수 있습니다. 이를 막기 위해 매도 사이드카가 작동하여 잠시 매도를 멈추고 시장을 진정시킬 시간을 주는 것입니다.
사례
예를 들어 2020년 3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전 세계 주식시장이 급락했을 때,한국 증시에서도 여러 차례 사이드카와 서킷브레이커가 발동되었습니다.특히 선물 가격이 5% 이상 떨어지는 경우가 잦았기 때문에, 매도 사이드카가 자주 작동하여 시장을 진정시키는 역할을 했습니다.
매도 사이드카와 서킷브레이커의 차이점
- 매도 사이드카는 프로그램 매도만 제한하며, 5분간 효력만 정지합니다.
- 서킷브레이커는 전체 주식 매매를 시장 전체적으로 20분간 정지시킵니다.
즉, 매도 사이드카는 부분적이고 일시적인 제어,서킷브레이커는 전면적이고 강력한 제어 장치입니다. 이 매도 사이드카는 하루에 한 번만 발동할 수 있으며 선물 가격이 다시 안정되면 별도의 조치 없이 거래는 정상 재개 됩니다.
코스피 vs 코스닥 매도 사이드카 비교
주식시장에서 큰 폭의 급락이 발생할 경우, 시장의 과도한 혼란을 막기 위해 ‘사이드카’가 발동됩니다.그런데 사이드카는 코스피와 코스닥 시장에서 각각 따로 적용됩니다.두 시장의 매도 사이드카는 기본 원리는 같지만, 작동 기준과 대상이 일부 다릅니다. 아래에서 자세히 비교해보겠습니다.
✅ 공통점: 사이드카의 목적과 기능
먼저 코스피와 코스닥 모두 사이드카의 기본 목적은 동일합니다.
- 프로그램 매매에 의한 급격한 주가 하락을 일시적으로 제어
- 시장에 진정 시간을 부여하여 공황매도를 방지
- 프로그램 매도호가의 효력을 5분간 정지
이처럼 코스피든 코스닥이든 사이드카는 시장 안정 장치라는 점에서 본질적으로 같습니다.
✅ 차이점 비교
🔍 주요 차이 요약
- 기준 지수: 코스피는 KOSPI200, 코스닥은 KOSDAQ150 선물 지수를 기준으로 합니다.
- 발동 조건: 코스피는 5% 이상 하락, 코스닥은 보다 엄격하게 6% 이상 하락해야 발동됩니다.
이는 코스닥 시장이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더 큰 폭의 하락이 있어야 사이드카를 작동시키도록 설계된 것입니다.
✅ 왜 조건이 다른가요?
코스닥 시장은 상대적으로 신생 기업이나 기술주 중심이기 때문에, 코스피보다 가격 변동이 더 큽니다.
이러한 특성을 감안하여, **코스닥 사이드카는 더 높은 발동 기준(6%)**을 적용하고 있는 것입니다.
이는 시장 특성에 맞춘 제도 설계라고 볼 수 있습니다.
결론
오늘은 매도사이드카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 주식시장이 급락할때 투자자들의 공황 매도를 막고 시장을 일시적으로 진정시켜 안정적인 거래 환경을 유지하기 위한 중요한 장치 이므로 투자자라면 사이드카가 어떻게 작동하는 지를 이해하고 있는 것이 아주 중요 하답니다.
공매도 수혜주와 공매도 재개일(투자전략)
2025년 공매도 재개일이 다가오면서 주식 시장의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공매도 재개로 인해 주가 변동성이 커질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따라 수혜주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는데요. 이번
13.happymoon12.com
댓글